1.한국 교육의 문제 해결:우리나라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가장 큰 문제는 명문 대학 졸업이 좋은 직장과 보수를 결정한다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나는 일이다. 이에 따라 사교육비 증가와 과열 경쟁으로 이어지고 또한 입시 위주의 주입식 암기 교육으로 연결되어 창의 인성 교육이 소홀히 여겨진다. 기술과 지식의 혁신으로 사회가 변화하는 세상에서 지식 정보화 사회에 적합한 역량을 갖춘 인간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이 재편성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많다. 우리나라도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대응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선진국으로 나아가려면 학벌 주의를 완화해야 한다. 실력과 역량을 우선시하고 그들에게 직업과 높은 보수를 보장하도록 사회적 여견을 만들어야 한다. 중, 고등학교 교육이 대학 입시에 좋속되지 않도록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입시 위주의 주입식 암기가 아닌 토론과 탐구, 체험 학습, 협동 학습 등의 다양한 학습에 힘써야한다. 또한 창의 인성 교육을 강화하고, 창의적, 확산적 사고를 신장하고 평가하는 방식이 마련되어야 하고 과열 경쟁에 따른 사교육비 부담 문제를 해결하고 점수 위주의 입학 전형이 아니라 잠재력과 역량을 중심으로 입학 전형을 구성해야 한다. 소득간의 격차로 교육 기회의 양극화를 없애고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계층 간, 지역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누구에게나 양질의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2.미래 한국 교육의 발전 과제:우리 교육은 궁극적으로 민주 시민 육성과 정치적 민주화 등 국가의 양적 성장에 이바지하였다. 달라지는 미래에는 세계화, 국제화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인적 자원을 양성하여 교육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을 추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