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공교육의 위기에 대한 다양한 입장:공교육의 위기는 계속 제기되었다. 교실 붕괴, 학교 실패, 탈학교 현상 등 다양한 위기가 발생한다. 공교육의 본래적 이념의 위기, 지식 정보화 사회가 찾아와 달라진 교육 환경에 대한 학교 기능의 상실, 공교육에 대한 불신과 존립 위협, 사회 불평등을 키우는 등 다양한 관점의 위기가 제기되었다. 먼저 현재 공교육이 미래 사회에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갖춘 인간으로 기르는 것이 어려워졌다는 입장이 있다. 또한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지식은 인터넷과 같은 지식 채널에서 습득이 가능하다는 점과 공교육에 대한 불신 확산과 학생의 가치관 변화, 교육적 요구 상승 등의 요인도 있다. 그리고 자본주의 체제에서 공교육은 사회 경제적 지위를 계승하여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공교육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공교육 위기의 대체와 전망:공교육의 위기에 대해 선진국인 미국은 아동 낙오 방지법을 정하였다. 영국도 학생들에게 높은 교육 수준 성취를 목적으로 교육 개혁을 추진하였다. 근대 공교육의 한계가 드러나자 그 대안으로 재택 교육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획일화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보완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힘쓰고 있다. 공교육이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갖춘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하나의 과제이다. 문화의 다양성, 뉴 미디어의 확산, 세계화 및 국제화 등 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사회 구성원들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누구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 체제의 다양화와 개방화에 발맞춰 유연하게 운영해야 한다.
고찰:ai시대에 공교육은 더욱 위기에 처해있다. 이제는 많은 지식과 학습을 ai를 통해 배운다. 국가와 사회가 이것에 어떻게 대처해 나갈지는 전지구적 과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