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관점의 의미와 특징
사회적 관점은 사회 구조 및 제도의 영향력에 초점을 두고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보는 관점이다.
사회 구조는 개인의 상호 작용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관계의 틀이다. 사회 제도는 사회 구성원이 상호 작용을 원활하게 하고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관습화되고 공식화된 방법과 절차를 말한다. 사회 구조는 비교적 오래 지속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개인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의 의식이나 행동의 변화는 사회 구조와 사회 제도에 변화를 가져온다. 사회현상을 이해할 때 사회 구조 및 제도와 개인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적 관점에서는 사회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 구조와 사회 제도는 무엇이고 사회 구조와 제도 안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사회적 관계를 맺고 상호 작용하며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서 구조와 제도가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 탐구한다. 예컨대 학교 교육의 내용이 교육 환경에 따라 어떻게 결정되는지 탐구한다면 이것은 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다. 사회 현상을 사회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은 사회현상의 원인 파악과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윤리적 관점의 의미와 특징
윤리적 관점은 도덕적 가치와 규범을 고려하여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보는 관점이다.
사회현상에는 사실 문제와 가치 문제가 존재한다. 가치 문제는 옳고 그름, 좋고 나쁨에 대한 사회 구성원의 가치가 반영되어 있다. 도덕적 가치와 규범은 마땅히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이 무엇이고 도덕적으로 더 바람직한 것이 무엇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말한다. 양심은 인간 존엄성과 평화, 인간 내면에 있는 보편적 규범이다. 개인의 삶의 방향성을 정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려면 윤리적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 윤리적 관점에서는 더 큰 행복과 바람직한 삶을 위해 어떤 가치나 태도를 추구해야 하는지, 다양한 가치들 중에서 더 우선하는 가치는 무엇인지, 가치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예컨대 모든 학교 구성원이 소외되지 않는 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학교 교육의 개선할 점을 고민하는 것은 윤리적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다. 윤리적 관점은 바람직하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의사 결정이나 사회 문제와 관련된 가치 갈등 해결을 도와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