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사회, 환경 탐구에서의 통합적 관점

통합적 관점의 의미와 중요성

현대 사회는 불확실하고 복잡하다. 이에 대처하려면 인간, 사회, 환경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합적 관점은 인간과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을 함께 생각하는 것이다. 통합적 관점에서 사회 현상을 바라볼 때 역사적 배경과 시대적 맥락, 장소, 지역 및 공간적 상호 작용, 사회 구조 및 제도의 영향력, 도덕적 가치와 규범을 함께 고려한다.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은 각 관점 자체로도 의미 있지만 함께 고려한다면 복잡한 사회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회 현상의 여러 측면을 고려하여 관련 문제를 바라본다면 다양한 대응 방안을 도출할 것이다. 익숙하고 제한된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을 골고루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통합적 관점을 적용한 탐구

통합적 관점을 적용하여 인간, 사회, 환경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탐구 주제를 선정하고 각 관점을 고려하여 탐구할 질문을 만든다. 예를 들어 감염병의 확산으로 혐오와 차별에 대한 탐구를 진행한다면 역사적으로 유사한 사례, 공간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사회적으로 제재가 가능한지, 윤리적으로 어떤 가치를 중시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다. 각 질문에 답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을 종합하여 문제에 대응할 다양한 방안을 모색한다. 이처럼 통합적으로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네 가지 관점에서 감염병 확산에 따른 혐오와 차별 탐구하기

1.시간적 관점:과거 흑사병이 유행하였을 때 빈곤층이나 유대인 등 특정 집단을 흑사병 유행의 원인이라고 낙인 찍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센병에 대한 차별적 인식 때문에 191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한센병 환자를 강제 격리했다.

2.공간적 관점: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유행 후 미국에서 아시아인 혐오가 확산되었다. 뉴욕에서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혐오 범죄가 발생하였고 그 범위가 뉴욕 일부에서 전체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아시아인 상업 시설이 위치한 곳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났다.

3.사회적 관점:새로운 감염병을 명명할 때 사람이나 동물, 특정 지역명이 들어가면 안된다. 해당 명칭이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적인 낙인을 찍기 때문이다. 엠폭스는 유행 초기 원숭이 두창으로 불려 특정 인종에 대한 차별이 발생했었다.

4.윤리적 관점:프랑스의한 신문이 황색 경보라는 인종 차별 사진을 1면에 실었고 아시아계 유색 인종을 차별하고 편견을 조장하였다.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과 편견은 인간 존엄성을 해치는 일이고 윤리적 문제가 발생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